[게임개발자] 레드핑
개발 공부법 본문
개발 튜토리얼을 보다가 보면, 몇일전에 본내용인데 전혀 기억이 나지않는다. 혹은 튜토리얼을 보았건만, 백지상태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을 마주하게 된다.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기본적으로는 한가지 방법이 생각나다. 기억은 반복의 결과라고 했던가... 결국 반복해서 하는 방법밖에 생각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지루하고, 고통스럽다는 생각이 스친다.
이방법을 말고 다른방법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최근에 생각나는 개발방법으로는 파인만 공부법을 응용한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1. 처음에는 개발 기술을 조사해본다. -> 이말은 즉슨 개발 튜토리얼을 보는것과 유사한다.
개발 튜토리얼을 보면서 어떤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지 리스트화 하여, 간략하고 추상적으로 개념들을 나열해본다.
(인 풋 가정)
2. 튜토리얼을 본것을 따라해본후, 해당 내용을 튜토리얼을 끈 후 자신만의 용어로 설명해본다. ( 아웃풋 가정)
3. 설명하면서, 지식의 빈틈 즉, 설명 불가능한 부분이 있는지 찾는다. 찾았다면 해당부분이 어떤것들인지 메모해둔다.
4. 설명 불가능한 부분을 다시 조사한후(인풋), 2번 부터 (아웃풋) 다시 반복한다.
뇌과학에서 인풋보다 아웃풋이 더 기억력에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그렇다면 인풋을 왜할까? 라고 생각 할 수도 있는데, 인풋은 결국 아웃풋을 하기 위한 베이스 , 즉 기틀을 마련해 준다.
'일상 > 개발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를 위한 게임 개발 가이드: Godot4로 기본 플레이어 움직임 구현하기 (0) | 2024.03.20 |
---|---|
Godot player 기본구조 (0) | 2024.02.20 |
초대 작업 (0) | 2024.01.07 |
Freind invites 초대기능을 제작 (0) | 2023.12.17 |
Join FirendLobby 관련 자료 찾음 (0) | 2023.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