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Comments
Recent Posts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Link
Today
Total
관리 메뉴

[게임개발자] 레드핑

혼자서 모든 것을 하는 인디게임 개발자의 하루 본문

일상/개발일상

혼자서 모든 것을 하는 인디게임 개발자의 하루

레드핑(redping) 2025. 1. 29. 20:18

안녕하세요. 1년 차 인디게임 개발자입니다. 많은 분들이 게임 개발자의 삶에 대해 궁금해하시는데, 실제 인디게임 개발자의 일상은 생각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도전적입니다. 오늘은 제가 보내는 평범한 하루를 여러분과 공유하려고 합니다.

아침 루틴 (7:30 - 9:00)

Coda 이미지

저는 보통 7시 30분에 일어납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밤을 새우고 늦게 일어난다고 생각하실 텐데, 제가 발견한 가장 큰 비결은 규칙적인 생활입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제일 먼저 하는 일은 20분 동안 명상을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하루 종일 집중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침 식사 후에는 전날 작성한 코드를 검토합니다. 상쾌한 아침 정신으로 보면 전날 못 보았던 문제점들이 보이더라고요. 이때 그날의 할 일 목록도 작성합니다. Coda를 사용해서 task들을 관리하는데, 하루에 절대 3개 이상의 주요 task는 잡지 않습니다.

오전 작업 시간 (9:00 - 12:00)

Godat 이미지

오전은 제가 가장 집중력이 좋은 시간대입니다. 이 시간에는 주로 핵심 게임 메카닉과 관련된 프로그래밍을 합니다. 현재는 Godot4로 2D 디펜스 게임을 개발 중인데, 플레이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어요.

매 50분 작업 후에는 반드시 10분간 휴식을 취합니다. 처음에는 시간 낭비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전체적인 생산성이 올라가더라고요. 휴식 시간에는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눈 운동을 합니다.

점심 시간과 커뮤니티 관리 (12:00 - 14:00)

Discord 이미지

점심 식사 후에는 커뮤니티 관리에 시간을 씁니다. Discord 서버에서 사람들과 소통하고, 인스타그램에 개발 진행상황을 공유합니다. 처음에는 부끄러워서 망설였는데, 작은 진행상황이라도 공유하면 팬들이 정말 좋아해주시더라고요.

특히 기억에 남는 건 첫 번째 게임의 버그를 팬이 발견해서 알려줬을 때입니다. 그때부터 팬들과의 소통이 단순한 마케팅이 아닌, 게임을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어요.

오후 작업 시간 (14:00 - 18:00)

오후에는 주로 그래픽 작업과 사운드 디자인을 합니다. 프로그래머 출신이라 처음에는 이 부분이 가장 어려웠는데, 유튜브와 온라인 강의를 통해 조금씩 실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aseprite

Aseprite로 픽셀 아트를, FMOD로 사운드를 작업하는데, 하나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완성하는 데 보통 2-3일 정도 걸립니다. 완벽을 추구하다 보면 시간이 부족해서, "출시 가능한 수준"이라는 기준을 세워두고 있습니다.

저녁 시간 활용 (18:00 - 22:00)

 

Steam

저녁에는 다른 인디게임들을 플레이하면서 시장 조사를 합니다. Steam에서 비슷한 장르의 게임들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는지 연구합니다.

또한 개발자 포럼에서 다른 개발자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새로운 기술이나 도구에 대해 공부합니다. 현재는 게임 디자인 패턴과 셰이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어요.

유용한 개발 도구들

제가 매일 사용하는 필수 도구들을 공유합니다:

  • Godot: 메인 무료 오픈소스 게임 엔진
  • Aseprite: 픽셀 아트 제작
  • FMOD: 사운드 디자인
  • Coda: 작업 관리
  • Discord: 커뮤니티 관리

인디 개발자를 위한 팁

  1. 시간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모든 것을 혼자 하다 보면 쉽게 지치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정확히 정하세요.
  2. 커뮤니티를 일찍 만드세요. 게임이 완성되기 전부터 팬층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건강관리를 무시하지 마세요. 특히 손목과 눈 관리는 필수입니다.
  4. 완벽보다는 완성을 목표로 하세요. 처음부터 AAA급 퀄리티를 기대하지 마세요.

마지막으로

인디게임 개발은 분명 힘든 길입니다. 프로그래머, 아티스트, 기획자, 마케터 등 모든 역할을 혼자서 해내야 하니까요. 하지만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어내는 과정은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큰 성취감을 줍니다.

여러분도 인디게임 개발을 꿈꾸고 계신다면, 작은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만의 페이스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완벽한 일정이나 방법은 없으니까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