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개발자] 레드핑
인디게임 개발자를 위한 성장과 루틴에 관한 이야기 본문
기분과 코딩의 위험한 관계
인디게임 개발자가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기분에 따라 코딩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기분에 따라 무언가를 하는 것 자체가 위험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말합니다. "즐거운 일을 하라!"고요. 저 역시 한때는 그런 조언을 믿고 즐거운 일만을 찾아 헤맸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즐겁다고 생각했던 일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스트레스가 되고 점점 더 힘들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패턴은 제가 재미있다고 생각했던 모든 일에서 반복되었습니다.
즐거움의 과학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찾아보니,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인간이 진정으로 즐거움을 느끼는 순간은 주어진 과제의 난이도와 자신의 실력 수준이 비슷할 때라고 합니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진정으로 즐기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성장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성장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즐겁지 않은 순간들이 찾아오게 됩니다.
좋아하는 일의 진정한 의미
그래서 저는 여러분께 당부드립니다. 즐겁지 않다고 해서 쉽게 포기하지 마세요. 만약 여러분이 어떤 일을 할 때 잘 안 될 때는 화가 나고, 잘 될 때는 기쁘다면, 그것이 바로 여러분이 진정으로 좋아하는 일이라는 증거입니다.
루틴의 필요성
그렇다면 왜 루틴이 필요할까요?
우리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은 능숙함을 위한 성장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좋아한다'는 감정에만 의존해서 성장하려 한다면, 우리는 심한 기복을 겪으며 매우 느리고 비효율적인 성장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좋아한다'는 감정은 본질적으로 기분에 의존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사람이기에 매일 같은 기분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꾸준하고 일정한 성장입니다.
의지력의 한계와 루틴의 힘
이러한 일정한 성장을 위해서는 '매일 매일 꾸준히'라는, 어쩌면 지루하게 들릴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순수한 의지력만으로 해내려고 한다면, 우리는 곧 한계에 부딪히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 루틴이 등장합니다. 루틴은 인간 뇌의 무의식적 능력을 활용하여 의지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루틴을 통해 우리는 감정의 기복에 덜 휘둘리면서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마치며
결국, 성공적인 인디게임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열정과 즐거움에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기분과 감정의 기복을 이겨내고 꾸준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견고한 루틴의 확립이 필수적입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프로페셔널의 자세일 것입니다.
'일상 > 그냥일상 한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의 시작, 그 뜨거운 열정 (0) | 2025.02.03 |
---|---|
나를 지키는 방법 (0) | 2025.01.25 |
인생 좌절에서, (1) | 2024.03.04 |
뇌과학을 개발 학습에 이용하는 방법 (0) | 2023.11.04 |
현재 Godot 과 Steam 기능을 Export 해서 배포 테스트 중입니다.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