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일상/개발일상 (39)
[게임개발자] 레드핑

Naming covention에 대해서 관심을 매우 가지게 되었다. 일단 무엇이든 만들려면 이부분이 기초라고 생각하였다. 그중 GDscript 는 파일 이름을 snake_case 를 사용한다. lowercase 와 뛰어쓰기를 underscore(_) 를 사용한 네이밍법이다. 이점으로는 snake_case 가 인식면에서 더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고는 하지만, 해당 내용의 각주에 실험 논문에서의 전제는 snake_case 로 훈련된 사람들을 대상으로한 실험 이었다고 한다.(당연한거아닌가? snake_case 로 이미 훈련이 되어있으니... 당연히 빠르지 않을까?....) 필자가 해당 논문을 보면서 느낀 소감은, underscore(_) 를 사용하니,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흐름상 , 구분을 하지만, 내용상 이..

현대 사회의 개발팀에서는 다양한 기술과 아이디어가 교차하는 만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입니다. 종종 팀 커뮤니케이션은 팀장의 단독 책임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모든 팀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과정입니다. 프로젝트라는 개념은 본질적으로 협력을 요구하며, 이는 팀원 모두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서 시작됩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권위의 행사보다는 상호 존중과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실제로, 팀의 성장과 성공은 개인의 기여뿐만 아니라, 팀원들 사이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크게 의존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개발 7년차, 매니저 1일차'라는 책은 현대 사회의 업무 프로젝트와 팀의 연관 관계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이 책은 팀 커뮤니케..

게임 개발의 세계는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하지만 게임의 핵심적인 요소인 '플레이어 움직임' 구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Godot4 엔진을 사용하는 초보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우리가 게임 내에서 조작하는 '플레이어'를 구현하는 데는 다양한 방법과 관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부터 차근차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이란, 바로 플레이어가 움직이는 것입니다. 이 움직임은 물리학의 기본 원리, 즉 속력과 방향이 결합된 '속도'에 기반합니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움직일 방향과 그 속도입니다. 움직임의 방향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결정됩니다. 이를 위해 Godo..
Player node 기본구조 CharacterBody2D - AnimationSprite2D - CollisionShape2D 왜 Godot 의 플레이어는 Character Body2D 를 쓸까? Charater Body2D 의 역할은? 충돌 역할도 아닌데, collision 을 따로 추가시켜주는 이유는? 왜 CharacterBody2D 라고 말할까? 중력이나 , 물리엔진의 영향을 받지않고, 충돌 관계성을 가지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핵심은 움직임이나, 모든부분을 스크립트로 제어하기 위한것이다. 모든 관계와 영향을 스크립트로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그리고 position 보다 move and slide 로 움직임을 제어하는게 좋다. 왜 move and slide 로 움직임을 제어하는게 좋은가?
개발 튜토리얼을 보다가 보면, 몇일전에 본내용인데 전혀 기억이 나지않는다. 혹은 튜토리얼을 보았건만, 백지상태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을 마주하게 된다.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기본적으로는 한가지 방법이 생각나다. 기억은 반복의 결과라고 했던가... 결국 반복해서 하는 방법밖에 생각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지루하고, 고통스럽다는 생각이 스친다. 이방법을 말고 다른방법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최근에 생각나는 개발방법으로는 파인만 공부법을 응용한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1. 처음에는 개발 기술을 조사해본다. -> 이말은 즉슨 개발 튜토리얼을 보는것과 유사한다. 개발 튜토리얼을 보면서 어떤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지 리스트화 하여, 간략하고 추상적으로 개념들을 나열해본다. (인 풋 가정) 2. ..
https://allggame.tistory.com/38 Godot 멀티 인디게임 개발 https://www.youtube.com/watch?v=-xv9yRlr9cE&t=313s part2 로직 참고와 GodotSteam 공식문서의 https://godotsteam.com/tutorials/friends_lobbies/ Friends'Lobbies 를 참고하여 로비 create 까지 만든 상황 Friends' Lobbies - GodotSteam Tutoria allggame.tistory.com 초대 작업 완료 투컴으로 초대 테스트하기